다른 팀원이 도와주신 더미데이터 내용 수집한걸 토대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게 편집 중. 댓글 수정, 삭제 하려면 경고문 표시. 팀원들과 프로젝트동안 거의 계속 소통하면서 했다. 소통이 잘 돼서 서로 어려운 부분은 공유해가고 선택할 부분은 의견을 구하면서 진행중이다. 소통이 잘 돼 빠르고 원활한 진행이 되는 것 같아 소통의 중요성을 더욱 깨닫게 되는 것 같다.
redux redux란 파일을 따로 만들어 안에 config와 modules파일을 만든다. config안에 store를 만들고 module은 기능의 이름을 따서 파일을 생성한 후 초기 상태값(initialState)과 리듀서(reducer)를 만들어준다. module을 만들면 store에 연결한다. 그리고 components에서 store를 조회할땐 useSelector를 사용해야한다. useSelector,state는 모든 module에 state를 조회한다.( const aaa = useSelector((state) => state); ) action객체는 반드시 type이라는 key를 가져야하고 reducer로 보낼 명령. dispatch는 action객체를 reducer로 보낼 전달자 함수.( c..
useEffect : React component가 렌더링이 될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hook useEffect(() => { console.log(“여기가 실행”) }, [여기가 바뀔때 마다 실행]); useEffect는 화면이 렌더링 될때 마다 안의 함수가 실행된다. 마지막 배열에 어떤값이 변할때 마다 실행될지 정할 수 있다. 배열을 빈칸으로 놔두면 처음 화면을 실행할때 한번만 실행 된다. 리액트 lifecycle에 대해 공부하면 더 자세히 알 수 있을것 같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