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pp.py
브라우저는 요청하기위한 수단.
요청은 url로 하는것.
클릭하면 서버에 get요청으로 들어온다.
@app.route = 경로
port : ex)localhost:5000 = 기본적으론 다 막혀있고 5000이란 곳을 열어서 접근 하는 것.
def (definition:정의)
log (일지)
render : 주다
template : 템플릿
터미널
clear : 초기화
ls (list directory contents)
pwd : 현재 경로
cd (change directory)
파라미터 (parameter) : 매개변수 ,ID와 PW가 담긴 요청 값
get : 파라미터 노출 ex) 127.0.0.1:5000/id=‘sldjfls’, password=‘dlfjssl’ 이런식으로 노출
post : 파라미터 노출X
로그인 할 때
id = request.form[‘id’]
password = request.form[‘password’]
동기 : 요청을 하나씩 수행
비동기 : 요청을 새로고침 안하고 동시에 수행
skeleton ui : 비동기, 요청 처리 대기중에 뼈대를 표현
UX (user experience) : 사용자 경험
알고리즘
시간복잡도(중요) > 공간복잡도
빅오 표기법
자료구조 고려사항
삽입 시간
삭제 시간
검색 시간
정렬 여부